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[5.3] DNS설정, 서브넷 마스크 1. DNS설정 (nat에서 설정) * 마지막 줄에 nat 외부 랜카드 IP를 입력하여, cmd 관리자 창에서 통신 되는지 확인 * nat.skk.shop으로 ping 나가는 것 확인 2. WordPress 설치 (web01) # yum -y install epel-release yum-utils # yum-config-manager --enable remi-php74 # yum install -y httpd php php-mysql php-gd php-mbstring wget unzip # cd /var/www/html # unzip /root/share/wordpress-5.9.3-ko_KR.zip # mv wordpress/* . # chown -R apache:apache /var/www/* # .. 더보기
[5.2] WordPress설치 , IIS와 PHP연동, DNS, DB, NFS, SAMBA 등 설치 * NAT Gateway : AWS의 서비스 이름으로 원래 이름은 NAT * 라우터(Router) : 경로를 설정해주는 장치 Router에 NAT가 포함됨 * L7스위치 : 글을 읽을 줄 안다 (크롬 사용자인지 IE사용자인지 firefox사용자인지 판단해서 스위치 관리) => 콘텐츠를 라우팅하는 장치일뿐, 부하를 분산하는 로드밸런서 역할은 아니다. (L4기능의 로드밸런서 기능도 있다.) * ESXi는 프라이빗 클라우드가 이니라고 할 수도 있지만, OpenStack은 충분히 프라이빗 클라우드라고 할 수 있다. * 테넌트 : ESXi실습할 때, 옆에서 나의 ESXi IP를 사용하는 사람이 테넌트(임차인)이 된다. 1. SWITCH * EXTERNAL은 vSwitch0 포트그룹의 이름 * INTERNAL은 v.. 더보기
[4.29] ESXi * 설계도 * * 웹 서버를 외부에 배치하는 경우도 있음 * 여기서는 HAproxy를 이용해서만 메니저가 웹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 1. web01-로그 * access_log와 error_log가 모이는 경로 * access_log : 어떤 브라우저로 접속했는지, 출발지IP가 무엇인지 * 설계도 상에서 메니저가 출발지라도 web01이 보기에는 내부 랜카드가 출발지라서 출발지 IP로 10.0.13.1이 나옴 * 맨 뒤에 Firefox/99.0은 헤더부분으로 이것을 이용해 파이어폭스 사용자는 web01로 보내고 크롬은 web02로 보내고 정의 가능 (L7 HAproxy에서 할 수 있는 고급기능) * HAproxy가 header를 열어볼 수 있는 기능이 L7의 기능 * HAproxy 설정파일 vi /.. 더보기
[4.28] HAproxy구성 - WordPress를 활용하여 1. index.html 파일 수정 # html 루트폴더는 html이 위치해 있는 폴더 # html 루트폴더 : CentOS는 HTTPD(APACHE) /var/www/html/ # html 루트폴더 :Ubuntu Nginx는 /var/www/html/index.html # html 루트폴더(도커에서): Ubuntu Nginx는 /usr/share/nginx/html * 수정 전에는 습관적으로 backup파일 만들어 놓기 * index.html 파일을 만듦 * WEB03 입력 후 ctrl+s 눌러서 저장 * 파일 형식을 표시하기 위해 좌측 상단의 view에서 file extension 체크박스 체크 * index.html.txt에서 txt를 지워서 온전한 html파일로 만들어주기 2. nat에서 HApr.. 더보기
[4.27] NAT, WEB01, WEB02, WEB03 1. MobaXterm에서 NAT 생성 * 윈도우의 문서->mobaXterm폴더 만들어 주고 홈디렉토리로 사용 * mobaXterm에서 keypair생성 * ens32 랜카드 설정 * 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ns32 * 그림과 같은 내용으로 수정 * ens33 랜카드 설정 * 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ns33 * new file 만들면서 그림과 같은 내용 입력 * configuration파일을 다룬 후에는 systemctl restart network * ens33랜카드 IP 받음 * 랜카드 위치 확인 * tab키 눌렀을 때, 자동완성 잘 되도록 설치 *nmcli 하기 전에 잠시 NetworkManager .. 더보기
[4.26] 가상화/하이퍼 바이저(Hypervisor)/vmware 1. 가상화 종류 * Hypervisor가 Hardware의 자원을 GuestOS에 분배 * 반가상화에 비하면 Hypervisor가 자원을 분배하여 속도 지연 * 이기종의 OS 각각이 사용하는 용어들을 해석하는 역할을 'Binary Translation'이라고 함 -> 이러한 지연요소가 반가상화에 비해 상대적인 단점으로 지적 * OS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커널을 수정하는 작업이 포함됨 * OS별로 이기종 OS 용어 번역기가 있지만, 커널 수정 작업이 필요함 (binary translation과정이 없음) -> 따라서 하드웨어의 자원을 VM으로 넘겨주는 과정에서 지연요소가 없음 -> 하드웨어 자원을 보다 빠르게 공급받아서 VM의 성능이 UP * Xen Server라는 반가상화에 특화되어 있는 번역기가 있.. 더보기
[시스템 카탈로그] 시스템 카탈로그, 메타 데이터, 데이터 디렉토리 ※ 시스템 카탈로그(system catalog) : 다양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. ※ 메타데이터(meta-data) :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된 정보 데이터베이스 객체 정보 (테이블, 인덱스 등) 사용자 정보 ( 아이디, 패스워드 등) 테이블 무결성 제약 조건 정보 (기본키 외래키, 트리거 등) ※ 데이터 디렉토리(data directory) : 데이터 사전에 수록된 데이터에는 그냥 접근할 수 있는 게 아니고, 모종의 정보가 있어야 한다. 그러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데이터 디렉토리라고 한다. -- 데이터 디렉토리는 유지관리를 위해 존재하기에 사용자가 만지면 안 된다. 따라서 시스템만 접근할 수 있다. -- 반면, 시스템 카탈로그는 데이터 사전의 내용일 뿐이므로 사용자와.. 더보기
[정보처리기사] ISO/IEC12207, ISO/IEC15504, CMMI ※ ISO/IEC12207 - ISO가 만든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프로세스 - 기본 생명 주기 프로세스, 지원 생명 주기 프로세스, 조직 생명 주기 프로세스로 나뉜다. ※ CMMI(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) - 영어 뜻풀이 그대로 개발조직의 능력과 성숙도를 평가하는 모델 - 카네기멜론 SEI에서 개발 - CMMI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: 초기, 관리, 정의, 정량적 관리, 최적화[초관정정최] ※ ISO/IEC15504 (SPICE :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) -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국제 표준 - SPICE의 구성 : (고객-공급자 프로세스) (공학 프로세..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