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파이썬

[5.10] Python 2일차 # 입력 받은 숫자를 문자가 아닌 숫자로 처리하고 싶을 때 - 데이터 변환 함수 (클래스의 생성자) 사용 -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: int() # type() : 함수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클래스 - type을 이용하면 객체의 클래스를 알 수 있음 # 변수란? - 값(데이터)을 담는 그릇 - 종류와 크기 -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데이터 타입이 결정 - 이 데이터를 담는 변수의 데이터 타입도 결정 # 정적(static) vs 동적(dynamic) # 정적 타입 언어 vs 동적 타입 언어 # pre-run-time(compilation-time) vs run-time # 동적 타입 언어 : 변수가 프로그램 실행 중에 어떤 타입이든 저장 가능 즉, 변수가 특정 데이터 타입으로 결정X # 정적 타입 언어.. 더보기
[5.9] Python 1일차 # 프로그래밍이란? - 해야할 일을 (순서에 맞게) 기술한 것 #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란? - 컴퓨터가 해야할 일을 (순서에 맞게) 기술한 것 # 컴퓨터의 세계 vs 인간의 세계 - 2진수 vs 10진수, 12진수, 60진수 - only 수 vs 다양한 데이터 형 - CPU vs 두뇌 # 어셈블리어 - 기계어와 1대1 대응 # 저수준 언어 vs 고수준 언어 - 기계(CPU)에 가까운지 인간에 가까운지 # 컴파일러 vs 인터프리터 - 컴파일러 : 한 번에 쭈욱 해석 (번역가의 느낌, C, JAVA, 느림, 목적프로그램 생성) - 인터프리터 : 명령어 한 줄 한 줄 읽을 때마다 실행 (동시통역의 느낌, Python, BASIC, 빠름, 목적프로그램 생성X) # 접착 언어 (Glude Lang) - 다른 언어와.. 더보기
유클리드 호제법(Euclidean algorithm) Summary 유클리드 호제법은 최대공약수(Greatest Common Divisor)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. '호제'의 뜻은 '서로 호'(互)와 '덜 제'(除)의 조합으로 서로 빼는 과정을 반복해서 최대공약수를 구하겠다는 뜻이다. 이때, 큰 수에서 작은 수를 빼야 한다.(최대공약수는 양수여야만 하니까) HOW 1. ※ 12와 8의 최대공약수를 유클리드 호제법으로 구하는 순서 : 1️⃣ 12와 8 두 가지 숫자가 있음 2️⃣ 12에서 8을 빼면 4가 나옴 3️⃣ 12에서 8을 뺀 결과인 4가 12를 대체함 4️⃣ 그러면, 이제 8과 4 두 가지 숫자가 있음 5️⃣ 8에서 4를 빼면 4가 나옴 6️⃣ 그러면, 이제 8에서 4를 뺀 4가 8을 대체함 7️⃣ 같은 숫자 4 가 두개 남았음, 이때는 4에서 다른..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