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리스트

[5.10] Python 2일차 # 입력 받은 숫자를 문자가 아닌 숫자로 처리하고 싶을 때 - 데이터 변환 함수 (클래스의 생성자) 사용 -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: int() # type() : 함수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클래스 - type을 이용하면 객체의 클래스를 알 수 있음 # 변수란? - 값(데이터)을 담는 그릇 - 종류와 크기 -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데이터 타입이 결정 - 이 데이터를 담는 변수의 데이터 타입도 결정 # 정적(static) vs 동적(dynamic) # 정적 타입 언어 vs 동적 타입 언어 # pre-run-time(compilation-time) vs run-time # 동적 타입 언어 : 변수가 프로그램 실행 중에 어떤 타입이든 저장 가능 즉, 변수가 특정 데이터 타입으로 결정X # 정적 타입 언어.. 더보기
순차적 자료구조(배열과 리스트) 배열(Array)과 리스트(List) Python에서는 리스트가 배열 자료구조다. 배열과 리스트는 데이터를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고, 저장된 곳의 주소를 통해 접근하는 자료구조다. 좌측의 그림은 int Array[4]를 통해 정수 4개를 저장할 수 있는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을 할당한 것이다. 각각의 메모리 공간은 주소를 갖는다. 주소가 4씩 커지는 이유는 정수의 크기가 4Byte니까. 위의 그림과 같이 메모리의 주소가 주어지면, 단위시간에 값을 읽거나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. print(A[2]) # A[2]의 값을 읽을 수 있다. A[2] = 8 # A[2]의 메모리에 값 8을 저장할 수 있다. 그래서 중요한 사실은~ 1️⃣ 배열의 시작 주소 2️⃣ 저장된 값의 종류(int인지 string인지 ..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