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o nil 썸네일형 리스트형 [5.17] Go 2일차 # 개념 # * 타입 지정 상수와 타입 미지정 상수 - 프로그래밍 의도 - 타입 미지정 상수는 리터럴과 같은 취급 - 타입 지정 상수는 해당 타입 변수에만 할당해야 함 * 사용하지 않는 변수 - 지역 변수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함 - 사용되지 않는 상수는 허용 * 변수와 상수 이름 짓기 - Go는 유니코드 문자를 식별자로 허용 ( 권장X ) * Go는 관용적으로 스네이크 표기법 사용하지 않음 - 낙타 표기법, 파스칼 표기법 사용 * 상수 : 모든 문자를 대문자, 각 단어는 밑줄로 구분 - Go는 이러한 일반 상수 이름 규칙을 따르지 않음 - 패키지에 포함된 요소를 외부에 노출시킬지 (expose) 여부를 식별자의 첫 글자가 대소문자 여부로 결정 * 함수 내에서는 짧은 변수 이름 선호 - 변수의 의미보다 간.. 더보기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