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[5.26] 퍼블릭 클라우드 2일차 WEB01(AL2) # EC2 인스턴스 만들고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수정이 어려워서 mobaXterm에서 수정 * 세션 생성 시 ec2-user라는 초기 사용자는 변경 불가능 * 호스트 이름을 IP로 설정하겠다고 EC2 인스턴스 생성할 때 체크했으므로 IP가 호스트 이름으로 표시됨 * 블록 스토리지 확인 명령어 * free 명령어는 메모리 확인 명령어 * 하이퍼바이저 타입1인 Xen서버를 이용 # WEB02 * bionic이 나오면 18.04 버전이라는 의미 * 프리티어 사용 가능인지 잘 확인하기 * 윈도우의 경우 라이선스 비용 때문에 더 비싼 것 * 기존에 생성했던 프라이빗 키 사용 * 2a 가용영역에 WEB01을 생성했기 때문에,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WEB02는 2c에 만드는 것 * WEB 서버가 .. 더보기 [5.25] 퍼블릭 클라우드 # 클라우드 컴퓨팅 - 인터넷 기반 컴퓨팅 - 컴퓨팅 자원(CPU, RAM, 스토리지(SSD, HDD), 애플리케이션 등)을 빌려씀 # 클라우드 종류 - Public - 불특정 사용자 - Private(ESXI, Openstack) - 특정 사용자 - Traditional Infrastructure(on-premise) - Hybrid Cloud(Public + Private) : 통상적으로 Public + Private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(넓게 보면 on-premise 포함) - 퍼블릭과 프라이빗은 VPN 또는 Direct로 연결 - 멀티 클라우드 : 퍼블릭 클라우드 간의 연결 # 퍼블릭 클라우드 사용하는 이유 - IT인프라 자원관리가 용이함 - 인프라 구축 속도가 빠름 - 글로벌 서비스 전개의 신속.. 더보기 [5.24] 오픈스택 # 루트볼륨 확장 (오픈스택에서는 인스턴스가 종료된 상태일 때 가능) * lsblk는 할당된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* df -h는 디스크에서 사용 중인 공간과 사용 가능한 공간 확인하는 명령어 # 키를 분실한 경우 * 스토리지 서비스인 cinder는 남아 있는 것 * compute 서비스인 Nova만 삭제됨 * 인스턴스 삭제시 볼륨삭제 옵션을 '아니오'로 선택했기 때문에 Cinder볼륨은 남아 있게 되는 것 * Nova라는 인스턴스가 지워지더라도 attach 되어 있던 Cinder는 지워지지 않음 # CLI 환경을 위해 기존 내용 삭제 * 볼륨이 지워지지 않으면 일단 두고 스냅샷과 연동된 볼륨부터 삭제하고 다시 삭제하면 됨 * 유동 IP는 계속 없어지는 것이 아니고 계속 가져다 쓰는 것이기 때문에 해제라.. 더보기 [5.23] 오픈스택 총정리(설치, 설정 등) # Openstack VM 설정 - Openstack VM 최소사양 - CPU : 4C (시스템 8C) - RAM : 8GB (시스템 16GB) - Openstack 권장사양 - CPU : 24C - RAM : 24GB Bridged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DHCP가 있어야 하는 데 실무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DHCP 사용하지 않는 경우 많음 # Openstack 설치 * RAM 권장사양은 24GB인데 12GB밖에 안 잡았으니까, swap을 이용하자 * swap은 잡아놓은 메모리(12GB)의 반 정도를 swap으로 잡게 됨( 메모리 공간을 전부 사용할 시 부족한 부분을 처리하겠다는 의미의 swap 공간) * swap을 12GB * SORTWARE파트에서 Closet mirror 찾은 것 볼 수 있음 # Mo.. 더보기 [5.20] Go 5일차(복습) # 변수 * var : 변수 선언 키워드 * x : 변수 이름 * int : 변수 타입 * y라는 이름의 int 타입 변수를 100으로 초기화 * 변수 세 가지(x, y, z)를 순서대로 100, 200, 300으로 초기화 * 변수에 초기값을 주지 않으면 제로 값을 가짐 * 제로 값 : - 숫자형의 경우 0 - bool타입의 경우 false - string의 경우 ''(비어 있는 문자열) # 상수 * const : 상수 선언 키워드 * x, y : 상수의 이름 * int, string : 상수의 타입 * 100, "Go" : 상수의 값 * Go언어는 10이 할당되면 int 타입이고 "Go"가 할당되면 string이라는 것을 자동으로 추론함 * const( ) : ( ) 안에 여러 개의 상수를 한 번에 초.. 더보기 [5.19] Go 4일차 # 개념 # * defer - 정리 작업을 수행하는 함수 지정 - 현재 코드 블록이 끝날 때 자동으로 실행 - defer는 여러 번 사용될 수 있음 -> 나중에 defer 된 함수가 먼저 실행됨(LIFO) - defer가 적용된 함수 중 반환 값이 있는 함수의 반환 값은 따로 읽을 수 없음 - defer와 이름 지정된 반환 값 * 값에 의한 호출(Call by Value)을 사용하는 Go - Call by Value : 인자나 반환 값이 복사됨 - 원본이 변경되지 않음 - 데이터 보호 측면에서 유용 -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경우 메모리와 시간이 많이 필요 cf.) Call by Reference : 주소가 복사됨 -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이나 수정 시 주소만 넘겨주면 원본을 수정할 수 있어 복사가 필요 .. 더보기 [5.18] Go 3일차 # 개념 # * 블록(block) - 선언문이 있는 각각의 공간 - 관련 있는 문장을 묶은 것 - 식별자의 스코프(scope) - 식별자의 Lifecycle(생명주기) - 블록 내에서 선언/정의될 때, 식별자가 생성됨(메모리에 해당 요소 만들어짐) - 블록이 끝날 때 식별자가 제거됨 - 즉, 블록 내에서만 해당 식별자 사용 가능, 블록 밖에서는 접근할 수 없음 - 패키지 블록 - 함수 외부에 선언된 것들이 속함 - := 은 사용 불가 - 대문자로 시작하는 식별자는 패키지 외부에 노출(expose)됨 - 노출된 식별자는 점 연산자를 통해 접근 - .go 파일이 여러 개더라도 package 이름이 같으면 같은 패키지 블록에 포함 - 파일블록 - .go 파일에 선언된 것들 - import문이 포함된 파일 - .. 더보기 [5.17] Go 2일차 # 개념 # * 타입 지정 상수와 타입 미지정 상수 - 프로그래밍 의도 - 타입 미지정 상수는 리터럴과 같은 취급 - 타입 지정 상수는 해당 타입 변수에만 할당해야 함 * 사용하지 않는 변수 - 지역 변수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함 - 사용되지 않는 상수는 허용 * 변수와 상수 이름 짓기 - Go는 유니코드 문자를 식별자로 허용 ( 권장X ) * Go는 관용적으로 스네이크 표기법 사용하지 않음 - 낙타 표기법, 파스칼 표기법 사용 * 상수 : 모든 문자를 대문자, 각 단어는 밑줄로 구분 - Go는 이러한 일반 상수 이름 규칙을 따르지 않음 - 패키지에 포함된 요소를 외부에 노출시킬지 (expose) 여부를 식별자의 첫 글자가 대소문자 여부로 결정 * 함수 내에서는 짧은 변수 이름 선호 - 변수의 의미보다 간..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