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[5.16] Go 1일차 # 개념 # * scale up vs scale out - scale up : 직원의 능력을 향상시켜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느낌 - scale out : 직원의 수를 늘리는 느낌 * Go 작업 공간 - GOPATH 환경 변수 - 작업 공간의 기본 디렉토리 : - GOPATH=$HOME/go - GOPATH=%USERPROFILE%\go cf.) 쉘(shell) : -명령어와 프로그램 실행 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(인터페이스:함수의 인터페이스는 함수 헤더, 접근을 위한 모든 것) - 커널(kernel)과 사용자간의 다리 역할 * %GOPATH%\bin %GOPATH%\src * go 명령어 - go run [go 파일... | go 패키지] : 실행 (임시 실행 파일을 만드는 명령어) - 작은 .. 더보기
[5.13] Python 5일차 # 사전 지식 *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 가능 * 웹 브라우저에서 마우스 클릭과 같은 기능 * 자동으로 브라우저 띄우고 접속해서 게시판 버튼 누르는 등의 기능 구현 가능 * conda update --all * 웹 브라우저 제어는 웹 드라이버 메니저가 수행 * conda install 패키지명 해서 안 되면 conda install -c conda-forge 패키지명 # 크롤링 # *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는 크롬의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위해 webdriver_manager.chrome 을 통해 라이브러리 가져오기 * 크롬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selenium 라이브러리 가져오기 * 크롬 드라이버를 시작, 동시에 크롬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았을 시 설치 * URL 변수에 접속할 사이트 바인딩 * driver.ge.. 더보기
[5.12] Python 4일차 # conda forty 설치# * base가 아닌 forty환경에서 vscode를 사용하기 위해 설치 * conda forty 환경 실행 * conda env remove -n (환경명) 을 통해 사용하지 않을 환경 삭제 * conda에서 forty라는 환경에 들어가지 않아도 cmd관리자 창에서 바로 설치 가능 * 명령어 약자는 - 한 개, 풀 네임은 - 두 개 * --name은 -n * --channel은 -c * --yes는 -y * write permissions 애러가 발생할 수도 있음 -> cmd 관리자 창에서 진행 * 패키지들이 설치된 경로 * requests는 models라는 모듈에 정의되어 있음 (requests 자체는 모듈파일이 아님) * requests 모듈에서 get함수를 통해 해당.. 더보기
[5.11] Python 3일차 # zip() 내장 함수 - zip은 이터레이터 두 개 이상을 포함 # 리스트 (List Comprehension) - for문을 이용해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 - cf.) 사전 내포( dictionary comprehension) - 반복문 내에서 리스트에 원소를 추가하는 방법보다 빠름 - if는 지원하지만 else구문은 지원하지 않음 # 조건부 표현식(삼항 연산자) - 표현식1 if 조건식 else 표현식2 # while문 - while문을 사용할 때는 반복을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해야함 - 반복문을 빠져 나오기 위해서 코드 블록 내에서 비교식이 False가 되는 논리가 필요함 # 복합대입연산자 - 이항연산자 + 대입연산자 # 무한루프 - 반드시 루프를 빠져나오는 논리가 포함되어야 함 # break 문.. 더보기
[5.10] Python 2일차 # 입력 받은 숫자를 문자가 아닌 숫자로 처리하고 싶을 때 - 데이터 변환 함수 (클래스의 생성자) 사용 -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: int() # type() : 함수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클래스 - type을 이용하면 객체의 클래스를 알 수 있음 # 변수란? - 값(데이터)을 담는 그릇 - 종류와 크기 -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데이터 타입이 결정 - 이 데이터를 담는 변수의 데이터 타입도 결정 # 정적(static) vs 동적(dynamic) # 정적 타입 언어 vs 동적 타입 언어 # pre-run-time(compilation-time) vs run-time # 동적 타입 언어 : 변수가 프로그램 실행 중에 어떤 타입이든 저장 가능 즉, 변수가 특정 데이터 타입으로 결정X # 정적 타입 언어.. 더보기
[5.9] Python 1일차 # 프로그래밍이란? - 해야할 일을 (순서에 맞게) 기술한 것 #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란? - 컴퓨터가 해야할 일을 (순서에 맞게) 기술한 것 # 컴퓨터의 세계 vs 인간의 세계 - 2진수 vs 10진수, 12진수, 60진수 - only 수 vs 다양한 데이터 형 - CPU vs 두뇌 # 어셈블리어 - 기계어와 1대1 대응 # 저수준 언어 vs 고수준 언어 - 기계(CPU)에 가까운지 인간에 가까운지 # 컴파일러 vs 인터프리터 - 컴파일러 : 한 번에 쭈욱 해석 (번역가의 느낌, C, JAVA, 느림, 목적프로그램 생성) - 인터프리터 : 명령어 한 줄 한 줄 읽을 때마다 실행 (동시통역의 느낌, Python, BASIC, 빠름, 목적프로그램 생성X) # 접착 언어 (Glude Lang) - 다른 언어와.. 더보기
[5.6] 오픈스택-인스턴스 생성 * 실제 랜카드인 ens160에는 IP가 없고. br-ex(가상 랜카드)가 IP를 가지고 있다. * 오픈스택은 (KVM)Kernel Based Virtual Machine * Lanch와 Start의 차이 위의 인스턴스 시작은 Lanch(인스턴트 만드는 것) 아래의 인스턴스 시작은 Start(있는 것 시작) # 우분투 생성 * QCOW2는 호환성이 검증됨 (KVM용 가상디스크) * 키페어 생성 확인 (안 했으면 생성하기) * 프라이빗키는 절대 아무 곳에도 올리지 말기 * ICMP포트가 열려 있어야 ping 가능 워드프레스 설치(플로팅IP로 만든 web01-CentOS7) # sudo yum -y install https://rpms.remirepo.net/enterprise/remi-release-7.r.. 더보기
[5.4] 오픈스택(Openstack) 개념 --수업 전 간단 정리(서브넷 마스크)-- * 네트워크 주소를 너무 많이 나눠버리면 브로드캐스트에 있어 문제 발생 가능성 1. 오픈스택(Openstack) 1.1 오픈스택 개념 정리 * 가운데가 Vm * 5core service : Nova, Glance, Neutron, Cinder, Keystone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서비스 * Nova가 Vm으로 프로비전 되어 있다. * Nova는 CPU나 Memory와 같은 컴퓨트를 서비스 해준다. (그래서 프로비전) * Glance는 Vm에게 이미지(OS파일)을 서비스하는 역할을 한다. * Neutron은 Vm에게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. * Cinder는 Vm에게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한다. (일종의 어플 같은 것들이 탑재되는 블록스토리지라고 할 수 있다..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