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[7.29] CI/CD 복습 --- 원격 저장소 마이그레이션(Github에서 Gitlab으로 마이그레이션) mkdir git-migration git clone --mirror https://github.com/hali-linux/hello-world.git git-migration cd git-migration/ git push -uf http://gitlab.alibaba9.shop/johnlee/dev-site --all --- 젠킨스 설치 https://www.jenkins.io/download/ $ sudo su - # wget -O /etc/yum.repos.d/jenkins.repo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repo # rpm --import https://pkg... 더보기 [7.28] Jenkins Build, Git-Lab ** 수업 전 간단 정리 용량 예약 => 고사양의 인스턴스 유형을 사용할 경우 전날에 인스턴스를 중지시키고 다음 날에 다시 시작할 때 시작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용량예약을 이용할 수 있음 --- Jenkins Build --- 빌드한 내용 수정하기 --- 새로 배포할 때마다 지금 빌드 버튼을 눌러줘야 해서 번거로움(트리거의 필요성) => 리눅스의 cron 기능을 이용 --- 웹 페이지 바꿔보기 --- EC2에 gitlab 설치 --- GCP에 gitlab 설치해보기 -- vm 만들기 -- 키 만들기 (cmd창) 더보기 [7.27] Jenkins --- 젠킨스 설치 https://www.jenkins.io/download/ $ sudo su - => root 사용자로 변경 # wget -O /etc/yum.repos.d/jenkins.repo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repo # rpm --import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io.key => 정확한 리포지토리라는 것을 인증하기 위한 키 정보 # yum install -y fontconfig java-11-openjdk # amazon-linux-extras install -y java-openjdk11 # yum install -y jenkins # systemctl enable --.. 더보기 [7.26] Git lab --- Git을 활용한 GitHub에 소스코드 Push # mkdir git-test && cd $_ # echo "Hello World" > README.txt # git init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/root/git-test/.git/ # 로컬 저장소 -- 내부에서의 commit (개발자 입장) -- 원격 레포지토리에 commit -- 저장소의 내용을 pull한 후 내용을 변경하여 다시 push하기 -- 원격 저장소의 새로운 commit을 로컬 저장소에서 갱신하기 => 처음에 내려 받을 때는 git clone을 쓰지만, 이미 폴더 내에 리포지토리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-- Git Lab -- 사용자 만들기 -- A 사용자는 centos(로컬 저장.. 더보기 [7.25] 참고 ## 참고 ## - CKA 시험 준비할 때 https://kubernetes.io/ko/docs/reference/kubectl/cheatsheet/ 많이 참고하면 좋음 --- push하기 위한 자격 증명 aws configure aws s3 ls 푸쉬 명령 입력(푸쉬할 자격 얻는 것) EC2 생성 시 사용자 데이터에 의해 내려받아진 이미지를 리포지토리 주소와 태그 푸쉬 실행 --- EKS ---> 추후 API를 활용해 제어 플레인을 활용해야 해서 인증 필요 클러스터 생성(EKS-CLUSTER) 노드그룹 추가 노드그룹이 생성되는 동안 eks cli 실행 명령어 입력 더보기 [7.22] kubernetes(EKS에서 Deployment.yaml 실행) -- ECR 리포지토리 생성 후 레지스트리 만들기 => 레지스트리가 리포지토리의 상위 개념 => 레지스트리에 리포지토리가 만들어져야만 그곳에 이미지를 push할 수 있음 => 도커 허브는 push를 하는 순간 리포지토리가 자동으로 생성되면서 push됨 => ex) skk2022/web-site:v2.0 (도커 허브 아이디/리포지토리 이름) aws ecr-public get-login-password --region us-east-1 => 사전에 aws configure를 통해 aws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위의 명령어가 적용됨 => 만약 aws configure를 먼저 하지 않으면 인증 토큰 검색과 레지스트리에 대한 도커 클라이언트 인증 애러 발생 -- 일반사용자로 로그인(클러스터 생성) * CN.. 더보기 [7.21] kubernetes(ECR, EKS) ** review : taint처리된 노드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이 torlerations 필드 --- AWS EC2 도커 설치 => EC2 생성 시 사용자 스크립트 => EKS 마스터 노드에 접근하는 클라이언트의 역할 #!/bin/bash cd /tmp => 이렇게 절대경로를 지정하지 않으면, 아래의 curl 명령어로 어디에 설치되었는지 알 수 없음 curl " 도커 그룹에 ec2-user를 추가시키면 도커 명령어 사용 시 sudo를 붙이지 않아도 됨 --- EKS - aws 자격증명 $ aws configure - aws ecr 업로드(push) $ aws ecr-public get-login-password --region us-east-1 | docker login --username .. 더보기 [7.20] kubernetes(도커 이미지 pull 횟수 제한, ResourceQuota, taint, labels) ** 쿠버네티스에서 도커 이미지 pull 횟수 제한 문제 해결 ** # kubectl patch -n default serviceaccount/default -p '{"imagePullSecrets":[{"name": "skk2022"}]}' => default 부분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namespace명을 입력 # kubectl describe serviceaccount default -n default #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skk2022 --from-file=.dockerconfigjson=/root/.docker/config.json --type=kubernetes.io/dockerconfigjson => skk2022부분에는 docker 허브의 ID입력 # vi.. 더보기 이전 1 2 3 4 ··· 8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