$ sudo su - # wget -O /etc/yum.repos.d/jenkins.repo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repo # rpm --import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io.key => jenkins를 위한 저장소가 맞다고 검증하기 위한 키를 가져오는 명령어 # yum install -y fontconfig java-11-openjdk yum으로 fontconfig를 설치하고 java11은 yum을 통해 설치할 수 없기에 가이드가 출력됨 # amazon-linux-extras install -y java-openjdk11 # yum install -y jenkins # systemctl enable --now jenkins enable 전에는 임시패스워드 없는 상태
# cat /var/lib/jenkins/secrets/initialAdminPassword # 패스워드 수정 enable 후 임시 패스워드 확인 가능
# cd /opt # wget https://dlcdn.apache.org/maven/maven-3/3.8.6/binaries/apache-maven-3.8.6-bin.tar.gz # tar -xvzf apache-maven-3.8.6-bin.tar.gz => 추출하고, 추출하는 과정 보여주고, gz파일 압축 풀고, 그러한 작업의 대상인 파일은 apache-maven-3.8.6-bin.tar.gz # mv apache-maven-3.8.6 maven => 압축풀었을 때 나오는 폴더 이름이 너무 기니까 간단한 이름으로 변경 # cd maven # cd bin # cd ~ # find / -name java-11* # vi .bash_profile M2_HOME=/opt/maven M2=/opt/maven/bin JAVA_HOME=/usr/lib/jvm/java-11-openjdk-11.0.13.0.8-1.amzn2.0.3.x86_64 # User specific environment and startup programs
PATH=$PATH:$HOME/bin:$JAVA_HOME:$M2_HOME:$M2 # echo $PATH # source .bash_profile => 내가 설정한 .bash_profile 파일을 적용하는 명령어 # echo $PATH 경로 적용 전과 후 확인 가능 # mvn -v
--- Maven 프로젝트 만들기(Maven이 git lab의 소스코드를 가져와서 빌드하는지 확인하는 과정)
/usr/lib/jvm/java-11-openjdk-11.0.13.0.8-1.amzn2.0.3.x86_64 경로 입력이후 Apply 와 Save, 지금 빌드하기빌드한 내용 확인 가능